본문 바로가기
경영 이야기

호손실험

by 손정 2015. 10. 1.

메이요의 호손실험

 -메이요가 실시한 호손시 방직공장 실험으로 작업조건과 생산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것으로 4가지 실험으로 구성된다.

조명실험(1924~1927)

계전기 조립실험(1927~1932)

배전반 제작 실험(1928~1930)

면접실험(1931~1932)

 

1.조명실험

 -조명 밝기의 변화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로 실시

 -결과

조명상승시 : 실험집단과 대조집단 모두 생산량 증가

조명감소시 : 실험집단과 대조집단 모두 생산량 증가

 -시사점

조명실험은 실패하였으나 생산성에 인간적 요소가 개입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케하여

후속 실험의 계기가 됨

 

2.계전기실험(계전기 : 전화교환기내에 들어가는 스위치)

 -실험이라는 사실 자체가 실험대상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실험실을 만들고 실험에 대해서 사전에 작업자들과 많은 대화를 실시함

 -실험 방법 : 휴식시간의 길이,빈도,근무시간과 근무일수,온도,습도의 변화가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

-결과 : 조건 변화시 생산량 증가, 조건 환원시에도 생산량이 더욱 증가

-시사점

 생산성 향상의 요인으로 작업자들이 직접 대답한 여섯 가지

 작업 작업집단으로 일하니까 좋았다.

 관리감독의 형태가 달랐다.

 수입이 더 나았다.

 존중해 주는 분위기를 느꼈다.

 실험에 대해 스스로 흥미를 느꼈다.

 실험실에 집중된 회사안팎의 관심

 이를 통해

 첫째 실험에 적용된 작업 조건은 생산성의 원인이 아니다.

 둘째, 작업환경에 대해 작업자들에게 주어진 참여와 재량권이 직무만족을 일으켰다.

-호손효과:④⑤⑥번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람이 자신이 실험의 대상이거나 선택되었다고

         느낄때 더욱 적극적이 되어 실험 결과가 신뢰성을 잃게 되는 것

 

 

 

3.배전반 실험

 -실험내용: 임금을 개인적 성과급이 아닌 집단성과급으로 바꿀 경우 생산성의 변화을 알아봄

           작업조건에는 변화없이 성과평가,임금지급방식만 변경

-결과 : 생산량이 회사의 지시량에 부합되거나 최대로 증가되지 않았으며 작업집단내에서

       구성원들간에 설정한 수준으로 조정됨.개인적으로 너무 열심히 하거나 게을리 하는

       사람은 집단의 압력을 받음

-시사점 : 조직내에서는 조직의 공식적 경영관리규칙보다 비공식적 압력이 더욱 영향력을

         가질 수 있음.조직의 사회성 측면을 보여줌

 

4.면접실험

-실험방법: 21,000명을 대상으로 직무,작업환경,감독자,회사정책등에 대해서 면담을 실시하고

         생산성 변화를 알아보고자함.하지만 실제에서는 개인적 고충까지도 이야기함.

-결과:실험의 대상자들의 심리적 안정감과 직무 만족감이 상승함

-시사점

조직내에서 정기적으로 면접을 실시한다면

자신의 이야기를 누군가가 들어줌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얻음

구성원간의 인간관계 개선을 가져옴

조직과 구성원간의 협력 증대를 가져옴

면접관리자들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육의 기회가 됨

면접을 통해 얻게 되는 정보는 기업경영의 중요한 자산이 됨

 

 

참고문헌 : 조직행동이론,이인석

'경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전과 미션이 있어야 하는 이유  (0) 2016.02.01
글쓰기 연습 - 칼럼 분석  (0) 2015.10.25
인지편향  (0) 2015.10.01
HBR 의사결정논문  (0) 2015.10.01
HBR 의사 결정 논문  (0) 2015.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