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별평가와 집단평가
인사평가란 조직 구성원의 직무수행에 대한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평가를 말한다.
평가는 피평가자의 대상에 따라 개별평가,집단평가로 나눌 수 있고
평가자에 따라 상사평가,자기평가,동료평가,부하평가,고객평가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평가 방법에 따라서는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객관적 평가방법 | 주관적 평가방법 | 목표관리법 | ||
명확한 지표에 의한 평가법 |
직무수행이라는 행동에 초점을 두고 평가하는 방식 |
목표를 수립하고 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 ||
*경영목표와 관련 된 지표 평가 : 생산량,판매량, 불량율 등
*고용데이터와 관련된 지표 평가 : 결근율,사고율등 |
준거참조평가법 | 규준참조평가법 | 서술법 | MBO |
*도식평정법 *행동기준 평정법 *행동관찰법 *혼합기준법 *체크리스트 방법 |
*서열법 *짝비교법 *강제배분법 |
*피평가자의 직무 수행을 중대사건 방식이나 간략한 에세이 등의 형식 으로 서술하여 기록 하는 방식 |
* 오늘은 개별평가와 집단평가에 대해서 알아본다.
어떤팀이 두 명이서 피아노를 운반하는 일을 한다고 하자.
성과는 얼마나 빠른 시간에 많은 피아노를 운반하는 것인가이다.
이때 개별적으로 평가를 해야할까 팀단위로 평가를 해야할까
이처럼 협업의 경우에 개인의 성과지표를 측정한다면 작업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측정 자체가 어렵고
팀원들의 협동을 촉진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집단 성과지표를 고려한다면 협동을 유도할 수 있고 측정이 용이하지만 무임승차자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우수사원의 동기부여를 저해시킬 수 있다.
그러나 무임승차자는 차츰 동료들의 압박에 의해 줄어드는 현상을 보인다.
또한 우수자는 열심히 해봐도 개별 평가로 인정받지 못하므로 동기부여가 안되며 상사의 기대치 증가를
우려한 동료가 일을 천천히 하라는 압박을 하게되므로 성과가 떨어진다.
무임승차자로 인한 폐해보다 우수사원의 성과저하가 더 큰 폐해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집단평가는 구성원의 수준이 균일하고 작업이 집단적으로 이루어질때 유용하며 개인의 능률을
측정하는 목적이 아니라 전체적인 능률을 동등하게 할 목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경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비용 (0) | 2015.05.31 |
---|---|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0) | 2015.05.31 |
카페베네의 해외진출 (0) | 2015.05.31 |
우리나라 커피 시장의 규모 (0) | 2015.05.31 |
주식회사의 정의 (0) | 201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