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동기부여2 직장인 동기부여와 직무만족 (직무특성이론) 기업교육강사 손정입니다. (저서 : 활기찬 업무력, 당신도 불통이다, 글쓰기와 책쓰기) 사원, 대리의 이직율을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급여가 많아도 상사가 싫으면 나갈 수 있고 상사가 좋아도 일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나갈 수 있습니다. 직장인이 조직에 계속해서 남아 있으려는 성향을 조직몰입이라고 합니다. 조직몰입을 직무만족 측면에서 알아봅니다. 자기 직무에 만족한다면 조직에 남아 있으려는 마음이 생깁니다. 어떤 경우에 직무에 만족할까요? 해크만과 올담은 직무특성이론으로 이것을 설명했습니다. 사람은 자신의 직무에서 다음의 5가지가 발견되면 만족한다. 그렇다면 직무특성이론에 근거해서 리더의 역할 5가지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1.구성원이 자신의 업무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할 수 있.. 2020. 5. 30. 브룸의 기대이론과 직장인 동기부여 기업교육강사 손정입니다. (저서 : 활기찬 업무력 / 당신도 불통이다 / 글쓰기와 책쓰기) 동기부여 이론중에 대표적인 것이 브룸의 기대이론입니다. 동기부여의 크기는 기대성, 수단성, 유의성의 곱으로 나타난다 입니다. 유의성은 보상, 수단성은 성과, 기대성은 능력에 해당합니다. 내가 노력해서 성과를 내어 회사에서 받은 보상이 나에게 유의미하면 유의성이 있다고 합니다. 돈을 원하는데 해외연수를 보내주면 유의성이 떨어집니다. 승진과 경력개발을 원하는데 성과급만 주고 승진을 안 시키면 그 보상은 유의성이 떨어 집니다. 보상이 유의하다 하더라도 내가 낸 성과가 보상과 연결되지 않는 것이라면 의미가 없습니다. 성과가 보상의 수단이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신뢰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성과를 내면 반드시 .. 2020. 5.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