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정의 : 개인의 목표 달성 여부를 통해 고과를 평가하는 인사평가기법의 하나
2.유래 : 1954년 피터드러커가 경영관리기법으로 주장하였으며 그후 맥그리거가 인사평가의 하나의
기법으로 인식하여 1960년대부터 인사평가기법으로 정착
3.MBO 실시의 3단계 과정
① 1단계 : 목표 설정, 조직 전체 수준에서 수립한 목표를 기준으로 상층부에서 단계적으로 하층부로
내려오면서 목표를 수립한다.이때 상사와 부하가 서로 협의하여 실시한다.
② 2단계 : 목표 수행,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업무를 수행한다.
③ 3단계 : 목표 달성 평가, 수행한 업무를 1차적으로 부하가 스스로 평가하고 상사에게 보고하여
협의한다.상사가 이의를 제기하면 구체적 사실을 제기하여 서의 합의에 이른다.
평가는 업적 성과에 국한되며 평가과정에 피평가자가 참가하여 평가과정에 커뮤니케이션
이 활성화 된다.
4. 목표의 성격 5가지 (SMART)
Specific : 구체적이어야 한다. 범위 목표수가 구체적이서 세부적으로 달성하는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Measurable : 측정가능해야 한다. 수량,비율,시간,금액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Achievable : 달성가능해야한다. 구성원의 능력 범위내에 있어야 동기부여와 성취감이 생긴다.
Realistic : 현실적이어야한다. 조직의 여건내에서 추구할만한 정도여야하며 비현실적인 것은 제거한다.
Time specific : 기한이 있어야 한다. 목표에 따른 단기,장기적인 시간을 설정해둔다.
5. MBO의 장단점
장점 : 목표달성을 지향하는 활동에 초점을 맞춘다.
개인과 팀 목표가 조화를 이룬다.
목표 설정을 위한 직무분석이 이루어진다.
목표가 명확하므로 동기부여가 된다.
단점 : 결과만 중시함으로 과정이 무시될 수 있다.
측정불가한 요소는 배제된다.
장기적으로 달성 가능한 것은 배제된다.
타인,타부서와 의존적인 업무에 소홀히 하고 자신의 업무에만 집중하게 된다.
'경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재를 널리 등용한 제환공 (0) | 2015.05.26 |
---|---|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0) | 2015.05.24 |
사람이 아니라 적합한 사람이 필요하다 (0) | 2015.05.23 |
경쟁자의 등장은 기회다 (0) | 2015.05.23 |
법인 재단 사단 (0) | 201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