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이야기

중산층의 정의

by 손정 2015. 5. 26.

중산층에 대한 세계적으로 통일된 기준은 없다.

다만 OECD 기준의 경우

 

소득의 중앙치를 기준으로 50% ~ 150% 사이에 해당하는 소득을 얻는 사람

소득 중앙치의 50%에 미달하는 사람 : 빈곤층

소득 중앙치의 150%를 넘는 사람 : 상류층

 

* 2012년 기준의 한국의 중산층 비율

  중산층 : 65.0%

  빈곤층 : 14.6% (OECD 평균 10.9%, 미국 17.4%, 일본 16.0%)

              단 한국의 65세 이상 빈곤율 47.2%(OECD 평균 12.4%)

  상류층 : 20.3%

 

 국가별 중산층의 기준(국민들의 생각)

 

 프랑스

 외국어를 하나 정도 할 수 있으며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고

 다룰 줄 아는 악기가 있으며

 남들과 다른 요리를 만들 수 있어야 하고

 공분에 의연히 대처하고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할 것

 

 미국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며

 사회적인 약자를 돕고

 부정과 불법에 저항하는 것

 정기 구독하는 비평지가 있을 것

 

 영국

 페어 플레이를 할 것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질 것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할 것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 것

 불의와 불법에 의연히 대처할 것

 

 한국

 부채 없는 아파트 30평이상 소유

 월급여 500만원 이상

 자동차 중형이상 소유

 예금 잔액 1억원 이상

 해외 여행 연1회 이상

 

 여기에서 보면 한국 사람들은 중산층의 기준을 돈 중심으로 삼고 미국이나 프랑스,영국의 경우

 품위와 시민의식을 기준으로 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인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을 돈으로 환산할 경우 순자산을 6억이상 보유해야 하는데

 이런 사람들을 전체 가구로 환산할 경우 10.1%밖에 되지 않는다.

 순자산 기준을 5억이상으로 하더라도 13.5% 밖에 되지 않는다.

 

 

 출처 : 한경비지니스, 2014년 4월 2일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