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이야기

브레인스토밍의 좋은 사례

by 손정 2015. 5. 29.

브레인스토밍은 대체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진다.

 

왜냐하면 뇌는 엄격한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연상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는 자유롭게 생각하고 발언하라고는 하지만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장소에서

 

상사와 동료와 하는 것은 생각만큼 자유롭지 못하기때문이다.

 

단, 브레인스토밍은 새로운 아이디어 도출에는 효과가 없어도 아이디어를 확대하고 가다듬는데는

 

효과가 있다.

 

여기 좋은 사례가 하나 있다.

 

 

 미국 중부지역은 겨울에 폭설로 전깃줄에 눈이쌓여 전깃줄이 끊어져서 복구 작업에

 비용이 많이 들었는데 이 전깃줄에 쌓인 눈을 치우는 방법을 브레인스토밍하는 과정에서

 전깃줄을 막대기로 쳐서 눈을 치우자. 그건 너무 힘들다. 전봇대를 쿵쿵 쳐서 흔들면 어떻겠냐.

그것도 사람이 하기 힘들다. 그럼 곰이 쿵쿵치게 하면 어떻까? 어떻게? 전봇대 위에

 꿀단지를 올려 놓자. 꿀단지를어떻게 올려놓지? 헬리콥터로 올려 놓으면 되지. 헬리콥터는 안돼.

바람이 너무 세게 일어나서 꿀단지 놓다가 꿀단지를 날려 버릴지도 몰라. 그래?

그럼 그냥 헬리콥터 타고 전깃줄 위를 날아 다니면 그 바람으로 눈을 치울 수 있겠네. 이렇게 해서

지금은 폭설이 내려도 전깃줄이 끊어지는 일이 없어서 많은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경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라이공업의 채용공고  (0) 2015.05.29
떠오르는 기업 아르고티  (0) 2015.05.29
회사의 개념  (0) 2015.05.29
혁신기업-젠하이저  (0) 2015.05.29
혁신기업-미라이공업  (0) 201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