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사결정3

의사결정 문제가 발견되었을 때 해결책을 도출하는 과정까지를 의사결정이라고 하고 해결책을 실행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것까지를 문제해결이라고 한다. ​이때 해법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같은 문제를 보고도 사람마다 다른 해법을 도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음의 5가지 사람마다의 서로 다른 특징때문이다. ​1.스키마 과거의 경험으로 인해 어떤 사람, 사물, 현상에 대하여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의미체계이다. 사람들은 자신 앞에 놓인 문제가 아주 특별하지 않은 경우 스키마가 제공한 대안을 손쉽게 꺼내 써버린다. 스키마는 사람마다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의사결정 방식도 저마다 다른 것이다. ​ 2.창의력 문제에 대해 독창적이고 뛰어난 대안을 찾는 능력이다. 타고난 지성, 살면서 읽은 책, 문제 해결 경험에 따라 사람마다 창의력은.. 2019. 2. 18.
회상 용이성 휴리스틱이란 대상이나 현상을 판단할 때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정보에 근거하지 않고 경험,직관에 의해 신속하게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휴리스틱은 빠른 의사결정과 도전적 일을 수행할 때 필요하기도 하며 때로 그 효과가 좋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은데 그 이유는 회상용이성에 따른 선례의 함정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회상용이성 :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정보에 더 큰 비중을 두어 사물을 판단하는 것 ​선례의 함정 : 과거에 해봤던 비슷한 경험에 의해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려다 실패하는 것 ​때로는 회상용이성으로 성공하는 경우도 있다. 끝이 좋으면 다 좋다는 말이 있듯 강의에서 마무리를 잘 할 경우, 또는 상품 광고에서 따라하기 쉬운 카피나 배경 음악을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각인 시킬 경우가.. 2019. 2. 7.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현상태가 기대하는 바와 다를 때 그 원인을 찾고 원인을 제거할 방법을 도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이 전체 과정을 문제해결이라고 하고 앞부분 절반의 과정인 방법을 도출하고 그중에서 실행할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까지를 의사결정이라고 한다. ​ 좀더 정돈된 말로 정의하면 의사결정이란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에 필요한 대안을 도출, 평가하여 최상의 것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의할 점 ​ 1.제한된 합리성 합리적이라는 말의 뜻은 이치에 부합한다는 것이다. 인간이 의사결정을 잘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상의 대안을 찾는 일이겠지만 인간의 합리성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즉 최적해를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과 기준에 부합하는 만족해를 찾고 마는 경우.. 2019.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