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32

인간경영 인간경영이란 인간적 경영의 준말이다. 인간적으로 경영한다는 것은 무슨말일까? 첫째, 조직의 구성원인 인간을 인간으로 대해준다는 뜻이다. 둘째, 경영의 요소인 자원,인간,자본,정보,전략중에서 인간을 가장 중요시 여긴다는 뜻이다. 인간을 인간으로 대한다는 것은 무슨말일까? 그 것은 인간의 속성을 잘 이해하고 그 것에 부합하게 대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속성은 무엇인가? 인간은 기본적으로 생존과 안정을 원하고 그 것이 충족되어 불만족이 제거되면 만족의 요소인 능력발휘를 통한 자아실현,인정을 추구하기 위해 그러한 환경이 제공되기만한다면 자발적으로 움직이는 내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 그 것이 인간의 속성이다. 따라서 인간경영의 뜻은 조직 구성원의 필수 욕구인 임금,복지,고용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가운데 .. 2015. 6. 3.
책-아메바경영 교세라회장 이나모리 가즈오 지음 거대한 기업조직을 하나의 독립된 생명체인 아메바처럼 수많은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운영하는 경영방식으로 시장과 직결된 부문별 채산제도를 확립하고 경영자 의식을 가진 인재를 육성하며 전원참가경영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동료를 공동의 경영자로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2015. 6. 3.
포기하고 싶을때에는 난 훈련을 하다보면 늘 한계가 온다. 어느 땐 근육이 터져버릴 것 같고, 어느 땐 숨이 목 끝까지 차오르며 어느 땐 주저앉고 싶은 순간이 다가온다. 이런 순간이 오면 가슴속에 무언가가 말을 걸어온다.... 이만하면 됐어, 충분해, 다음에 하자. 이런 유혹에 포기하고 싶을 때가 있다. 하지만 이때 포기한다면, 안 한 것과 다를 게 없다. 99도까지 온도를 열심히 올려 놓아도 1도를 올리지 못한다면 물은 끓지 않는다. 물을 끓이는 마지막1도. 포기하고 싶은 그 마지막1도를 참아내는 것이다. 이 순간을 넘어야 다음 문이 열린다. -김연아- 2015. 6. 3.
서서히 세상을 변화시키는 법 서번트 리더, 존 울먼 한번에 한 사람씩 조용히 만나면서 큰 일을 이루는 경우가 있다. 미국의 퀘이커교 전도사 존 울먼(1720~1772)은 혼자 힘으로 퀘이커교회에서 노예제도를 철폐한 사람이다. 18세기 미국의 퀘이커교 신자들은 대부분이 부유하여 노예를 소유했다고 한다. 울먼은 교회에서 노예제를 뿌리 뽑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30년이라는 세월동안 그는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을 모든 것을 바쳤다. 그리하여 남북전쟁이 일어나기 100년전부터 퀘이커교 신자 가운데 노예를 소유한 사람은 하나도 없게 되었다. 울먼이 교회 안에서 노예제도를 척결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독특했다.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소동을 일으키지도 않았고 저항운동을 펼친 것도 아니었다. 온건한 방법 그러면서도 끈질긴 설득으로 신자 .. 2015. 6. 3.
활동적 타성 활동성 타성이란 말 그대로 열심히 늘 하던대로 한다는 뜻으로 런던비즈니스스쿨의 도널드 설 교수가 말했다. 자동차가 수렁에 빠졌을 때 가속 페달을 계속 밟으면 더욱 수렁에 빠져드는 것처럼 시장 상황이 극적으로 변하는데도 기업이 과거의 성공 공식에 머물며 오히려 과거에 했던 활동들을 더 가속화 하려는 기업의 일반적 성향을 말한다. 기업이 활동적 타성에 빠지면 현재의 상황에 안주하고 시장의 흐름에 맞게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시장 상황이 변하였는데도 오히려 과거 잘 나가던 시절의 활동을 더욱 열심히 하여 부진에 허덕이다가 결국 몰락하고 만다 2015. 6. 3.
조직에서의 의사결정 3가지 *전략적 의사결정 : 기업의 장기 목표 및 자원 배분과 관련되어 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으로써 최고경영층에서 이루어짐 *관리적 의사결정 :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원의 획득 및 효율적인 사용과 관련된 결정으로써 중간경영층에서 이루어짐 *기능적 의사결정 : 특정업무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행과 관련된 결정으로써 일선경영층에서 이루어짐 2015. 6. 3.